PULP
GSBR 장애인 대학원생 Better Life
GSBR 장애인 대학원생 Better Life(교육/연구/생활환경 개선) 지원
가. 목적
- 대학원생 권리장전(GSBR; Graduate Students Bill of Rights) 영향력 확대와 인식 제고를 위한 개선 사업 추진 활성화
- 대학원생 중 장애학생에 대한 경희만의 철학과 가치를 담은 교육·연구·생활환경 개선 사업 추진
나. 사업추진 방향
- Khreative U+ GSBR 권리장전 홍보 외 실질적인 대학원생 제반환경 개선 사업 추진 착수
- 대학원생 중 장애를 가진 대학원생의 교육/연구역량 개발과 환경 개선을 위한 맞춤형 사업 추진
- BK21 참여학과를 넘어 거교적 차원의 대학원생 GSBR 및 제반환경 개선 사업으로 점진적 확대
다. 사업내용
- 사업명 : Khreative U+ PULP GSBR 대학원생 Better Life(교육·연구·생활환경 개선) 사업
- 추진내용
- 사업형태 : 대학원 전체 개설 학과(행정실) 대상 공모사업으로 진행하며, 국고 예산범위 내 우선 순위 별 순차적 지원
- 사업내용
- 대학원 학과별 대학원생 GSBR 개선 사업 중 장애학생 교육/연구/생활환경 개선 계획 제출
- 장애 대학원생 교육/연구/생활환경 개선 사업 계획 내용
- 재학 중인 장애 대학원생의 교육(수업) 및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필요 경비 지원
단, 서울/국제C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해 지원 가능한 항목에 대한 지원은 접수 불가하나, 대여의 어려움, 수량 한정 등 특별한 사유가 있을 시 심의를 통해 지원 가능
[ 예시 ]
- 시각장애인 : 독서확대기, 화면확대기, 보이스레코더, 스크린리더기, 무선마이크, 점자책 제작 등
- 지체(거동불편) 장애인 : 전동/수동 휠체어, 특수 책장 및 의자(오토 테이블 등) 비품 등
- 청각장애인 : 소리증폭 장비 및 문자통역기 등
- 기타 장애인 대학원생의 대학원 생활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지원사항
단, 시설 및 장비 구축, 건축물 유지보수 등의 대규모 비용 투입 사업은 제외
- 비품 및 기자재로 등재가 필요한 자산성 지원품목은 대학원 혁신기획팀 관리부서로 설정하며, 장애 대학원생 졸업 또는 사용 불필요 시 혁신기획팀에 반납하여야 함
- 제출서류
- 신청서 및 계획서 통합 양식[학(원)장 서명날인 필요, 별도 양식 참조]
- 기타 증빙/첨부자료(자유양식, 분량제한 없음)
- 결과 보고서(지원 완료 후 1개월 이내 제출)
- 추진 일정(안) : 연중 실시 사업으로 진행
추진 일정표
No |
일시 |
내용 |
비고 |
1 |
3월 |
사업 확정 |
|
2 |
월 중순 |
공고 및 접수 |
연중 실시 사업 |
3 |
상시 선발 |
심의 및 선발 |
연중 실시 사업 |
4 |
상시 지원 |
지원 실시 |
연중 실시 사업 |
5 |
2월 |
결과보고서 제출/접수 |
지원 종료 후 1개월 이내 |
- 평가 및 심의방법 : 제출 신청서 및 계획서에 대한 정성평가 100% 실시
평가 및 심의방법 안내표
구분 |
평가항목 |
평가내용 |
배점 |
정성 평가 |
타당성 |
장애 대학원생 지원 경비 및 계획의 타당성 |
20점 |
합리성 |
-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 지원 불가능한 항목인가
- 학과 차원의 별도 개별 지원이 합리적인가
|
20점 |
중요성 |
장애 대학원생 학사과정과 졸업을 위해 중요한가 |
30점 |
시급성 |
대학원 혁신기획팀의 지원이 현재 우선적으로 필요한가 |
30점 |
계 |
100점 |
라. 기대효과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 성과지표 중 대학원생 인권 및 학문후속세대 교육/연구환경 개선 항목에 긍정적 성과 제고 기대
- 대학원생 GSBR 인식 개선, 장애 대학원생의 제반 환경 개선 및 관련 만족도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