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연구&공헌 지원

S-FUN

Khreative U+ S-FUN(Star FacUlty Nurturing) : 대학원생 해외연구∙연수 지원

가. 배경 및 목표
  1. 국제공동연구 맞춤 지원체계 활성화 계획의 일환으로, 박사과정 이후 우수 학문후속세대를 선발하여 국제공동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연수 및 연구비 지원
  2. 해외 저명 연구자와의 네트워크 강화 및 해외 공동연구의 기틀 마련 및 국제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업적 창출을 독려하고, 해외연수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가진 대학원생 육성
나. 사업 추진 방안
  1. 지원대상 : 다음 조건을 만족하고 높은 수준의 연구 및 글로벌 역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자
  2. 자격/지원조건
    1. 대한민국 국적이며 접수 마감일 기준, 본교 박사과정 및 박사수료자인 자
      • 신청서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입학한 지 4년이 지나지 않은 박사과정 및 박사수료자
      • 해외연수 기간 중 박사학위 취득 계획이 없는 자
    2. 연수(연구)기관 : 해당 학문(전공)분야의 선진 지식이나 기술이 축적되어 있는 해외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기관(대학 또는 연구소)
    3. 지원 학문분야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설치학과의 전 학문(전공)분야
      신청 확인 및 제한사항
      1. 타대학 학위 취득자(예정자), 외국인 및 외국 국적(이중국적자 포함) 소지자 신청 불가
      2. 본 사업과 동일한 목적으로 지원되는 타 재정지원사업 중복 연수지원 불가
      3. 연수기간과 전문연구요원(병역특례자) 기간 중복 시 신청 불가
      4. 최종 학술연구성과물(국제공동연구논문 등) 제출 이전 정년 또는 퇴직이 도래하는 지도교수의 추천은 지원 불가
  3. 지원내용 : 해외대학 등 연구기관에서 협력연구 또는 연수를 다음과 같이 지원
    1. 지원대상 : 하기 조건을 만족하며 높은 수준의 연구 및 글로벌 역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자

      연수 선정자는 1회만 지원받을 수 있음

    2. 지원기간 : 1년 (12개월)
      • 선정 이후 연수개시일 이전까지 출국해야 함
      • 연수개시일 이전 출국하지 못할 경우, 사업비 반납 또는 본교 승인을 받아 출국일 연장 가능
      • 1년 이내에 중도 귀국할 경우, 항공료를 제외한 사업비를 월할 계산하여 반납
      • 연속적인 학업 및 연구 독려를 위해 지원 기간 종료 후 귀국 의무 없음
    3. 선정자 지원 내역
      1. 지원금액(국외연수지원금) : 연수생 1인당 3,000만원 내외 지원
        • 연간 1인당 3,000만원 내외 지급(월 생활비 + 항공료 지원)(총 예산범위 내 일부 변경 가능)
        지원 관련 안내 표
        지원항목 집행항목 지원금액 비고
        지원내용 연구 인건비 월 2,000천원 * 12개월 = 연 24,000천원 인문사회 및 이공계열 동일
        항공료 6,000천원 이내

        해외연수 성격의 정부 지원금 이중수혜는 불가함

다. 선정 및 평가방법
  1. 선발체계 : 지도교수(본교 전임교원) 추천 및 대학원생 연수계획(정량+정성) 심사 후 선발

    지도교수 및 대학원생 학술연구실적 심사, 연수계획서 평가 등으로 진행

  2. 선발일정 : 추진 상황에 따라 일정은 일부 변경 가능함
    선발 일정표
    구분 세부내용 연수시작일
    6월(2기) 9월(3기) 12월(4기) 3월(1기)
    1. 신청 및
    신청기간
    신청기간 ~ 3월 말 ~ 7월 중순 ~ 10월 중순
    1단계 서면평가
    (연구계획서 및 제출자료 평가)
    ~ 4월 초 ~ 8월 초 ~ 11월 초
    2단계 발표평가
    (PPT 진행)
    ~ 4월 중순 ~ 8월 중순 ~ 11월 중순
    최종 결과발표
    (서약서 제출)
    4월 말 8월 말 11월 말
    2. 국외 연수준비 국외연수 증빙서류 제출
    (연수개시보고서 제출)
    5월 중 7월 중 10월 중 1월 중
    3. 국외 연수수행 국외연수 시작 06.01 ~ 09.01 ~ 12.01 ~ 03.01 ~
    현지 체류 증빙서류 제출
    (연수중간보고서 제출)
    연수 시작 후 5~6개월 이내
    국외 연수결과 제출
    (연수중간보고서 제출)
    연수 후 1개월 이내
  3. 제출서류 : 별첨 1~8 양식 및 하기 서류
    1. 신청서, 연수계획서, 연수기관 확정 및 협의 근거자료(초청장, 연수계획 관련 교환 서신 등) 1부
    2. 연수신청자 The Brain(https://brain.khu.ac.kr/main.do) 가입 및 연구활동 전체 탑재, 입력 연구실적자료 제출(제증빙 PDF 파일 제출)
      • 연구실적에 기재한 논문의 표지 및 첫 장(저널명, 논문제목, 저자명이 표기되어야 함)
      • 연구실적에 기재한 특허 등록증(발급기관명, 특허 제목, 특허자명이 표기되어야 함)
    3. 학부, 석사, 박사 성적증명서 각 1부
  4. 제출방법 : 각 서류는 작성자 및 확인자를 날인하여 스캔 후, PDF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구글폼으로 제출
  5. 심사방법
    1. 심사위원회의 1단계 평가 후 2단계 발표평가(온라인)를 통해 객관성과 엄정성/투명성 확보
    2. 모든 심사위원은 모든 과제(연수계획서)에 대해 점수 부여
    3. 심사결과 최종 점수가 총점의 80점 이상 최고점수 순으로 선정
  6. 평가지표
    평가지표 안내표
    평가 항목 평가 내용 배점
    정량
    (50%)
    신청자
    • 본교 연구실적평정 규정에 의거 점수화

      (최종 학술연구성과물 제출 기한 이전에 정년 및 퇴직 기한 도래 지도교수는 사업 신청 불가)

    25
    지도교수 25
    정성
    (50%)
    신청자의 역량
    및 연구 환경
    • 신청자의 전공, 그간의 연구 및 학술활동 참여 경력이 해당 연수를 수행하기에 충분한가?
    • 제안한 연수를 주도적·독립적으로 수행할 충분한 역량이 있는가?
    • 연수 기관 및 환경이 신청자의 학업ᆞ연구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적절한가?
    20
    학업 및 연구계획의 적절성
    및 연계성
    • 학업 및 연수계획이 구체적이고 적절하게 수립되었으며, 실현 가능한가?
    • 현재의 학업 방향과 연수계획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우수한가?
    20
    발전 가능성
    및 기대효과
    • 연수 결과가 향후 학술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가?
    • 지원을 받은 신청자가 우수 연구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연수결과 활용 계획이 적절히 수립되어 있는가?
    10
    합계 100

    상기 항목은 대학원 혁신기획팀 심사위원회 결정에 따라 변경 가능함

라. 유의사항
  1. 연수비 관리
    1. 연수비 지급 방법 : 지도교수(본교 전임교원) 교비 연구과제 생성 → 연수생 지급
    2. 연수비 및 연구비 관리
      • 연수비 : 생활비 및 항공료(월별 균등액 지급 및 항공료 실비 정산 등)
  2. 연수 관리
    1. 선정 이후 연수개시일 이전까지 출국해야 하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해당 기간 내 출국이 어려울 경우, 대학원 승인을 받아 출국일 연장 가능
    2. 연수기간 동안 현지체류를 원칙으로 하며, 한국으로 일시 방문 또는 제3국 방문 시, 대학에 사전 신고하여야 함
    3. 연수계획 변경 시, 변경신청서를 사전에 대학원으로 제출하여야 함
  3. 결과보고
    1. 착수보고서 : 연수국 도착일로부터 1개월 이내 제출
    2. 중간보고서 : 연수개시 후 6개월 이내 제출
    3. 결과보고서, 출입국사실증명서 : 연수 종료 후 1개월 이내 제출

      결과보고 미이행 시, 해외연수 지원금 전액 환수

마. 최종 학술연구성과물(의무사항) : 연수종료 후 1년 이내
  1. 연수계획서 및 결과보고서에 따른 최종 연구결과물-제 학술지 게재 전체 논문 별쇄본 각 1부
    1. 국제전문학술지(국제 1급) 게재 전체 논문 별쇄본 각 1부(소속 본교 표기, 연수자 본인이 반드시 제1저자여야 함), 다음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함
      • 인문사회계열(예체능계 포함) : 국제1급(A&HCI 또는 SSCI급) 학술지 1편 이상
      • 자연계열(이공계, 의약계) : 국제1급(SCIE) 이상 학술지 2편 이상 또는 JCR기준 상위 20% 이내 저널 1편 이상

    단, 진행 중인 논문인 경우 논문 게재확인서(accept 증빙) 제출

    연구성과물 관련 특이 사항 발생할 경우, 소관 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할 수 있음

  2. 학술지 게재 시 사사표기(의무사항) : 국제공동연구 의무에 따라 타 기관 복수사사(공동병기) 가능(미표기 불인정)
    This research is (partially) funded by the BK21 FOUR program of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GS-1-JO-NON-Info21연구과제번호)
    유의사항
    1. 연수개시 후 6개월 이내에 게재된 성과물은 업적으로 인정하지 않음
    2. 연수중단 시에는 기 지급 연구비 전액환수 또는 기간을 고려한 최소 의무논문편수 제출의무 등을 적용함
    3. 학위논문 제목과 일치하거나 발췌·요약 논문 인정 불가
    4. 연수자가 연수를 중단하였을 경우, 향후 동 사업에 지원할 수 없음
바. 기타
  1. 본 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내용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대학원혁신 사업운영지침 및 4단계 BK21 사업 예산편성 및 운영 지침 등을 준용하여 적용함

    경희대학교 4단계 BK21 대학원혁신(https://igkh.khu.ac.kr/) > 자료실 > 규정에서 운영지침 다운로드 가능.

  2. 의무 불이행 등 연수 중단 과제 참여 대학원생은 향후 대학원 및 대학원 혁신기획팀의 각종 연구비 및 장학금 지원사업 선정 시 참여 제한, 벌점 등의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음
  3. 사안의 경중에 따라 참여 학술연구교수 연구비 환수 등의 조치가 부과될 수 있음
  4. 그 밖의 기타 사항은 대학원혁신 심의위원회 결정을 통해 진행 예정